![]() |
![]() |
![]() |
![]() |
![]() |
![]() |
![]() |
1. 손과 팔꿈치가 수평이 되도록 어깨 높이로 들고 고개를 숙인다.(오른손등이 왼손등 위로 가도록 포갠다) 2. 포갠 양 손 사이로 시선은 바닥을 향한다. 3. 먼저 왼발을 구부린 뒤 오른발을 구부린 후 오른발을 아래가 되게 발등을 포갠 후,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
여자 큰절법
① 공수한 손을 어깨높이에서 수평이 되게 올린다.
② 고개를 숙여 이마를 손등에 댄다.
③ 왼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 무릎을 가지런히 꿇어앉는다.
④ 여자도 무릎을 세우지 않으며, 오른발을 아래로 왼발을 위로 하여 등을 포개고 뒤꿈치를 벌리며 깊이 앉는다.
⑤ 상체를 앞으로 60도쯤 굽힌다.
⑥ 상체를 일으킨다.
⑦ 오른 무릎을 먼저 세운다.
⑧ 일어나서 두 발을 모은다.
⑨ 수평으로 올렸던 공수한 손을 내린다.
⑩ 바른 자세로 섰다가 잠시 후 앉는다.
여자 평절법
1. 공수한 손을 풀어 두손을 양 옆에 내린다.
2. 왼무릎을 먼저 꿇는다.
3. 오른무릎을 왼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4. 오른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고 뒤꿈치를 벌리며 깊이 앉는다.
5. 손가락을 가지런히 모아 끝이 밖을 향하게 무릎과 가지런히 바닥에 댄다.
6. 상체를 앞으로 60도쯤 굽히며 손 바닥을 바닥에 댄다.
7. 상체를 일으키며 손 바닥을 바닥에서 뗀다.
8. 오른무릎을 세우며 손끝을 바닥에서 뗀다.
9. 일어나서 두 발을 모은다.
10. 두 손을 앞으로 모아 공수한다.
1. 공수한 손을 풀어 두손을 양 옆에 내린다.
2. 왼무릎을 먼저 꿇는다.
3. 오른무릎을 왼무릎과 가지런히 꿇는다.
4. 오른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고 뒤꿈치를 벌리며 깊이 앉는다.
5. 손가락을 가지런히 모아 끝이 밖을 향하게 무릎과 가지런히 바닥에 댄다.
6. 상체를 앞으로 60도쯤 굽히며 손 바닥을 바닥에 댄다.
7. 상체를 일으키며 손 바닥을 바닥에서 뗀다.
8. 오른무릎을 세우며 손끝을 바닥에서 뗀다.
9. 일어나서 두 발을 모은다.
10. 두 손을 앞으로 모아 공수한다.
여자 반절법
![]() |
![]() |
![]() |
![]() |
![]() |
![]() |
![]() |
1. 양손을 포개 양 팔꿈치와 손이 배 부근에서 수평이 되게 한다.(이때 남자는 왼손이 오른손 위로 올라간다) 2. 허리를 굽혀 손으로 땅을 짚고 왼발을 먼저 구부린다. 3. 오른발을 구부려 왼발 바닥위에 오른발을 포개 앉는다. 4. 엉덩이를 발에 붙이고 손을 구부려 양 팔꿈치가 땅에 닿은 상태에서 얼굴이 손에 닿을 정도로 허리를 굽혀 절한다. |
남자가 큰절하는 법
① 절하는 예절은 공수에서 시작된다. 공수한 자세로 절할 대상을 향해 선다.
- 남자는 왼손을 위로,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한다.
① 절하는 예절은 공수에서 시작된다. 공수한 자세로 절할 대상을 향해 선다.
- 남자는 왼손을 위로,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한다.
② 엎드리며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는다.
③ 왼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 무릎을 가지런히 꿇는다.
- 남녀 모두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④ 왼발이 아래로 발등을 포개고 뒤꿈치를 벌리며 깊이 앉는다.
- 남자는 왼발을 아래로 오른발을 위로 하여 발등을 포개고 앉는다.
- 발뒤꿈치에 닿을 만큼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⑤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가 손등에 닿도록 머리를 숙인다.
- 숙이고 잠시(1-2초) 머물렀다가 일어선다.
⑥ 고개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다.
⑦ 오른 무릎을 먼저 세운다.
⑧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오른 무릎 위에 놓는다.
⑨ 오른 무릎에 힘을 주며 일어나 양발을 가지런히 모은다.
⑩ 바른 자세로 섰다가 잠시 후 앉는다.
남자 절의 종류와 절하는 경우
*계수배 및 돈수배의 경우
1. 큰 절(계수배:稽首拜)
*계수배 및 돈수배의 경우
1. 큰 절(계수배:稽首拜)
기본동작과 같이 하되 6번 동작의 상태로 잠시 멀무러 있다가 일어난다. 답배(答拜)를 하지 않아도 될 높은 어른(직계존속)이나 의식행사에서 하는 절이다.
2. 평 절(돈수배:頓首拜)
2. 평 절(돈수배:頓首拜)
계수배와 같이 하되 6번동작에서 머물지 않고 이마가 손등에 닿으면 즉시 일어난다.
답배를 해야할 어른이나 정중히 맞절을 해야 할 경우에 하는 절이다.
3. 반 절(공수배:控首拜)
답배를 해야할 어른이나 정중히 맞절을 해야 할 경우에 하는 절이다.
3. 반 절(공수배:控首拜)
기본동작의 5,6,7번 동작을 하지 않고 엉덩이에서 머리까지 수평이 되게 굽혔다가 일어난다.
4. 고두배(叩頭拜)
4. 고두배(叩頭拜)
두손을 벌려 바닥을 짚고 이마로 바닥을 두드린다(다른동작은 기본동작과 같다).
신하가 임금에게 하는 절이다. 현재는 임금이 없으니 손을 벌려 바닥을 짚고 절을 해서는 안된다.
신하가 임금에게 하는 절이다. 현재는 임금이 없으니 손을 벌려 바닥을 짚고 절을 해서는 안된다.
매년 설날에만 세배를 하다보니 초등학교때 예절시간에 배운 예절도 생각이 잘안난다.
오늘 우연히 검색하다가 네이버에서 만난 세배하는 법 그림이 너무 이뻐서 다시한번 읽어보게됬다.
(깨지는군요.ㅠ)
어쨋든. 난 어려서부터 부적부적 키가 자라는 덕분에? 한복을 입은 기억이....
아주어렸을때 빼곤 없는것 같은데...
앞으로 시집가면 저 한복입고 아빠다리 하고 앉아서 하는 절을.. 어찌 할지 벌써부터 걱정이다ㅋㅋ
어쨋든 설날에 기쁜마음으로 세배하고 세뱃돈도 많이 받으세요^^(혹, 주세요^^)